국내외 정신건강 현황

자살

자살

국내현황

전국 자살사망자 수 및 자살률

  • 2023년 자살 사망자 수는 13,978명으로 전년 대비 1,072명(8.3%) 증가함.
    • 특히, 2월(22.0%), 6월(20.2%), 3월(15.5%), 5월(11.5%)에 증가함.
    • 1일 평균 자살 사망자 수는 38.3명임.
  • 자살 사망률(인구 10만 명당 명)은 27.3명으로 전년 대비 2.2명(8.5%) 증가함.
    • 자살률은 60대(13.6%), 50대(12.1%), 10대(10.4%)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80세 이상(-1.9%)에서 감소함.

[전국 자살사망자 수 및 자살률]

(단위 : 명, 인구 10만 명당 명)

을 나타내는 표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자살사망자 수

13,799

13,195

13,352

12,906

13,978

자살률

26.9

25.7

26.0

25.2

27.3

자료원 : 2023 사망원인통계 (2024)

연도별 자살사망자의 자살원인

  • 2023년 자살사망자의 자살원인은 정신적, 정신과적 문제 37.6%, 경제생활문제 25.9%, 육체적 질병 문제 16.2% 순으로 나타났으며, 매년 비슷하게 나타남. 정신적, 정신과적 문제가 매년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 되며 정신건강·자살예방 대책 마련이 요구됨

[연도별 자살사망자의 자살원인]

(단위 : 명, %)

을 나타내는 표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13,367

12,776

13,205

12,727

14,089

가정문제

1,069

891

879

685

692

경제생활문제

3,564

3,249

3,190

2,868

3,656

육체적 질병 문제

2,518

2,172

2,343

2,238

2,291

정신적정신과적 문제

4,638

4,905

5,258

5,011

5,308

직장 또는 업무상의 문제

598

492

496

404

395

남녀문제

373

360

281

256

256

사별문제

113

102

117

105

119

학대 또는 폭력문제

4

1

8

-

1

기타

330

372

300

377

408

미상

160

232

333

783

963

자료원 : 2023 경찰통계연보(제67호)

성·연령별 자살자 수 및 자살률 추이
  • 자살 사망률(인구 10만 명당 명)은 27.3명으로 전년 대비 2.1명(8.5%) 증가함.
  • 자살률은 60대(13.6%), 50대(12.1%), 10대(10.4%)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80세 이상(-1.9%)에서 감소함.
  • 자살률은 남자(38.3명)가 여자(16.5명)보다 2.3배 높음.
    • 전년 대비 자살률은 남자(8.4%), 여자(9.0%) 모두 증가함.
    • 남녀 간 자살률 성비는 10대를 제외하고 모두 남자가 높으며, 80세 이상이 3.9배로 가장 높음.
  • 자살은 10대부터 30대까지 사망원인 순위 1위이고, 40대, 50대에서는 사망원인 순위 2위임.
[성·연령별 자살자 수 및 자살률 추이]

(단위 : 명, 인구 10만 명당 명, %)

성·연령별 자살자 수 및 자살률 추이를 나타내는 표

구분

자살자 수

자살률

전체

1-9세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80세

이상

전체

2013년

14,427

28.5

0.0

4.9

18.0

28.4

32.7

38.1

40.7

66.9

94.7

2022년

12,906

25.2

0.0

7.2

21.4

25.3

28.9

29.0

27.0

37.8

60.6

2023년

13,978

27.3

0.0

7.9

22.2

26.4

31.6

32.5

30.7

39.0

59.4

22년

대비

증감

1,072

2.2

-

0.7

0.8

1.1

2.7

3.5

3.7

1.3

-1.2

증감률

8.3

8.5

-

10.4

3.7

4.4

9.3

12.1

13.6

3.3

-1.9

남성

2013년

10,060

39.8

0.0

5.6

20.9

36.4

47.2

58.0

64.6

110.4

168.9

2022년

9,019

35.3

0.0

7.6

24.5

33.4

39.5

42.5

41.4

61.9

117.9

2023년

9,747

38.3

0.0

7.1

26.4

33.7

43.0

47.5

46.6

63.9

115.8

22년

대비

증감

728

3.0

-

-0.5

1.9

0.3

3.5

4.9

5.2

2.1

-2.1

증감률

8.1

8.4

-

-6.9

7.7

0.8

8.9

11.6

12.6

3.3

-1.8

여성

2013년

4,367

17.3

0.0

4.1

14.8

20.0

17.8

18.0

18.4

35.4

63.9

2022년

3,887

15.1

0.0

6.7

17.9

16.7

17.9

15.2

13.2

17.7

30.9

2023년

4,231

16.5

0.0

8.8

17.6

18.6

19.8

17.3

15.3

18.0

29.6

22년

대비

증감

344

1.4

-

2.1

-0.4

1.9

1.8

2.1

2.1

0.3

-1.3

증감률

8.9

9.0

-

31.5

-2.1

11.7

10.3

13.8

16.1

2.0

-4.2

성비

남/여

2013년

2.3

2.3

-

1.4

1.4

1.8

2.7

3.2

3.5

3.1

2.6

2022년

2.3

2.3

-

1.1

1.4

2.0

2.2

2.8

3.1

3.5

3.8

2023년

2.3

2.3

-

0.8

1.5

1.8

2.2

2.7

3.0

3.5

3.9

자료원-통계청,자살원인통계2023(2024)

국외현황

OECD 주요국의 연령표준화 자살률
  • (OECD 표준인구 10만 명당 명) 비교 시 OECD 평균 10.7명에 비해, 한국은 24.8명(’23년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임. 한국 자살률 감소 및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과 관심이 요구됨
[OECD 주요국의 연령표준화 자살률]

(단위 : OECD 표준인구 10만 명당 명)

OECD 주요국의 연령표준화 자살률을 나타내는 표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OECD 평균

11.3

11.3

11.1

11.2

11.2

멕시코

5.5

5.6

5.8

6.3

6.6

영국

7.1

8.1

8.6

8.4

-

호주

13.6

13.1

13.5

12.6

12.5

미국

14.7

15.0

14.7

14.1

14.7

노르웨이

-

-

-

-

-

한국

23.8

25.5

25.4

24.1

24.3

독일

9.9

10.0

9.6

9.7

-

일본

15.2

15.0

14.6

15.4

15.6

덴마크

9.8

9.7

9.9

9.6

8.5

체코

12.8

12.3

10.7

10.9

11.1

핀란드

14.8

14.4

13.4

12.9

13.2

헝가리

15.7

15.9

14.8

16.1

14.9

자료원 : 통계청, OECD 주요국의 자살률(2024)
OECD,「https://stats.oecd.org, Health Status: Causes of mortality(Intentional self-harm)」 2024. 7